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시요일 목록
    • 시인 목록
    • 시집 목록
    • 청소년시집 목록
    • 동시집 목록
    • 고시조대전 목록
  • 고시조
    • 초장 색인
    • 수록 문헌 목록
    • 작가 목록
  • 시요일의 선택
    • 처음
    • 지금의 시선
    • 모든 것을 담은 시선
    • 책으로 만나는 시선
  • 시요일 추천
    • 오늘의 시 목록
    • 테마별 추천시
  • 검색
    • 통합 검색
    • 태그 검색
  • 귀로 보는 시
    • 시선 낭송
    • 청소년시선 낭송
  • 시作일기
    • 보는 詩간
    • 쓰는 詩간
    • 담는 詩간
  • 시요일 도서관은
  • 문의하기
    • 시요일 목록
      • 시인 목록
      • 시집 목록
      • 청소년시집 목록
      • 동시집 목록
      • 고시조대전 목록
    • 고시조
      • 초장 색인
      • 수록 문헌 목록
      • 작가 목록
    • 시요일의 선택
      • 처음
      • 지금의 시선
      • 모든 것을 담은 시선
      • 책으로 만나는 시선
    • 시요일 추천
      • 오늘의 시 목록
      • 테마별 추천시
      • 태그별 시
    • 검색
      • 통합 검색
      • 태그 검색
    • 귀로 보는 시
      • 시선 낭송
      • 청소년시선 낭송
    • 시作일기
      • 보는 詩간
      • 쓰는 詩간
      • 담는 詩간
    • 시요일 도서관은
    • 문의하기
    • 로그인

    시요일의 선택 -

    책

    고양이로 공감하고 세계를 통찰하는 작품

    2018-09-10

    고양이로 공감하고 세계를 통찰하는 작품

    - 김성민 동시집 『브이를 찾습니다』


    김유진(시인·어린이문학평론가)


    (이미지를 누르시면 도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차에 깔려 납작해진

    고양이를 접어 줄래


    무쇠 팔 무쇠 다리

    초강력 로봇으로 접어 줄래


    입을 우왕 벌리면

    차들은 후다닥 꽁무니를 빼겠지


    고양이 로봇은 눈치 안 볼 거야 느긋할 거야


    쿵!쿵! 늠름하게 갈 거야


    - 김성민 「고양이 접기」(『브이를 찾습니다』, 창비 2017)


    차를 타고 지나다 로드킬 흔적을 만날 때면 시선을 거두고 얼른 마음의 움직임을 걸어 잠그게 된다.

    학대받은 동물들 사진이나 동영상을 우연히 보게 될 때도 그렇다. 생명이 사라지고 피와 털이 뒤엉킨 물질의 껍데기를 목격하는 일 자체가 끔직하고 괴롭거니와 인간이 아니었으면 회색 도로 한복판에 붉은 사체가 나뒹굴지는 않았을 거라 생각하면 죄를 짓는 기분이다. 경칩 오고 겨울잠에서 깨어나 산란지로 이동하던 두꺼비 수백 마리가 올해에도 로드킬을 당했다는 소식에 더욱 울적해진다.


    슬퍼하고 외면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으랴. 차에 깔린 고양이가 납작해졌으니 종이접기하듯 접어 새롭게 탄생시킨다는 상상은 슬픔과 죄책감으로 눅진해진 감상에선 결코 발견할 수 없다. 고양이는 짓이겨진 살과 가죽이 아니라, 쉽게 찢기고 구겨지는 종이가 아니라, 강철판이 되었다. “무쇠 팔 무쇠 다리”를 지닌 “초강력 로봇”으로 다시 태어난 고양이는 무지막지하게 달려오는 자동차쯤은 한팔로 휭휭 돌려 멀리 던져버릴 것 같다. 자동차 보닛 위로 가뿐히 올라가 꼬리를 쿵, 내리치면 부주의한 운전자가 기겁하며 도망치는 뒷모습이 떠오른다.


    러시아 어떤 도시에서는 다음에 일하게 될 시장한테/정신 똑바로 차리고 일 잘하라는 뜻으로/사람들이 고양이를 후보로 내세워 표를 몰아주었다//고양이가 드디어 빛을 본 거다//구석구석 훑고 다닌 시간이 얼마였던가/잘못도 없이 쫓겨 다녀야만 했던 순간들/안타깝지만 억울한 죽음을 맞은 고양이들도 있었다(「고양이 만세」 부분)


    사고는 어쩔 수 없다 쳐도 일부러 고양이를 괴롭히거나 죽이는 사람도 여전히 있다. 한편에는 배고픈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병들고 다친 고양이를 병원에 데려가는 사람도 있다. 고양이를 개에 비해 별로 좋아하지 않고 ‘요물’이니 ‘영물’이니 하며 멀리했던 문화가 바뀌었다. 트위터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게시물은 고양이 사진이고, 가장 부러운 팔로워는 고양이를 키우는 ‘집사’다. 고양이만을 주제로 하는 잡지도 여럿 창간됐다.


    고양이를 다루는 아동문학 작품도 요즘 점점 더 많이 출간되고 있다. 동시집 『고양이가 나 대신』(이상교, 창비 2009), 『고양이 걸 씨』(장영복, 국민서관 2014), 동화집 『고양이 조문객』(선안나, 봄봄 2017), 청소년소설 『그날, 고양이가 내게로 왔다』(김중미, 낮은산 2017)는 고양이를 단지 글의 소재로 삼는 데서 끝나지 않고, 고양이라는 존재를 깊이 들여다보고 공감하면서 인간과 세계를 새롭게 통찰하는 작품이 되었다. 눈치 안 보고, 느긋하고, 늠름한 고양이를 사랑하는 인간에게는 뜻밖의 놀라운 선물이 주어지는 것 같다. 고양이는 못 키워도, 고양이 책은 꼬박꼬박 읽어봐야겠다.


    2018. 9. 10


    * 이 글은 한국일보(2018.3.15.)에 실린 서평을 재수록한 것입니다.

    다른 글 읽기

    (주) 창비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 (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이사 : 염종선
    사업자등록번호 : 105-81-63672통신판매업번호: 제2009-경기파주-1928호
    전화 031-955-3381, 3359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c)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CHANGBI